2006. 12. 6. 22:44

산케이 구로다 서울지국장...

<산케이> "'데모 천국' 한국, 홍콩에 수출까지"
구로다 <산케이신문> 서울지국장, WTO 농민시위 관련 또 망언
텍스트만보기 유성호(shyoo) 기자
"한국, 홍콩에 '데모 수출'"

일본의 대표적 우익신문인 <산케이신문> 구로다 가쓰히로(黑田勝弘) 서울지국장이 20일 서울발로 <산케이신문>에 타전한 기사의 제목이다. 홍콩에서 열린 세계무역기구(WTO) 각료회의 때 우리 농민들이 벌인 반대시위와 관련된 내용의 기사다.

구로다 지국장의 '극우적 망언'은 언론을 통해 이미 여러 차례 지적된 바 있다. 이번 기사 역시 같은 맥락에서 다뤄졌다. WTO 각료회의 내용은 전체 기사의 3분의 1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한국의 데모문화에 대한 비난 일색이다.

구로다 지국장은 이번 기사에서 "한국은 '데모 천국'이라고 할 만큼 각종 데모가 활발하다"며 "최근에는 해외에 까지 데모를 수출, 그 과격함이 국제적으로 화제가 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구로다 지국장은 WTO 체제 하에서 우리 정부가 농민들의 데모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민주화 이후 학생 데모는 줄었지만 노조나 시민운동단체의 요구가 분출, 서울 등은 데모 없는 날이 없을 만큼 데모 천국이 됐다"고 말했다.

구로다 지국장은 자타가 공인하는 한국통이다. 1978년 연세대에서 한국어를 배우기 시작해 1980년 <교도통신> 시절부터 현재까지 25년 동안 한국 소식을 일본에 전했다.

<한국인의 발상> <서울발, 이것이 한국이다> <조선반도의 세기말> <한국인 당신은 누구인가> <한국인은 한국인이다> <판문점의 벽은 무너질까> <서울이 평양이 된다> 등의 책을 출간하는 등 한국에 대한 저술 활동도 활발하다.

그러나 세월만큼이나 그의 '빗나간 어록'도 제법 된다. 최근 한 매체 기고문에 따르면 그는 가까운 장래에 연방제 통일이 실현, 인구 비례 투표를 하면 북한은 인구가 적지만 표가 결속되고 남한은 사분오열돼 결국 김정일이 통일 대통령이 될 것이라는 다소 엉뚱한 논리를 폈다.

또 한 신문과 인터뷰에서는 "지난 대선에 민주노동당 후보가 나와 주한미군 철수를 주장했고 좌파정권인 노무현정권이 탄생하는 등 이 상태라면 5년 뒤엔 민주노동당, 그 뒤엔 조선노동당이 집권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일 갈등의 원인이 독도문제에 대한 국내 언론의 편향된 보도 때문이라는 망언을 하기도 했으며 그 건으로 인해 우리나라 네티즌들에게 호된 질책을 받기도 했다. 친일 청산에 대한 국민적 여론을 '친북좌파적 주장'이라고 호도하고 일본의 한반도 강점이 결과적으로 근대화를 앞당긴 것 아니냐는 일본 극우세력의 망언을 되풀이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열도에 망언대장 이시하라 신타로(石原愼太郞)가 있다면 구로다 지국장은 일본의 문화 홍위병이란 지적도 나오고 있다. 지난달 중순 부산에서 열린 한 언론인 워크숍에서는 그를 두고 이제 그만 한국을 떠나는 것이 좋겠다는 요지의 발언까지 나왔다고 한다. 그만큼 그의 망언이 매를 번 셈이다.

WTO 농민 시위 관련 기사

[서울=구로다 가쓰히로] 세계무역기구(WTO) 각료회의를 반대하기 위해 한국에서 홍콩으로 원정 온 농민 단체의 데모가 발생, 약 천명이 경찰 당국에 대량 연행되는 사건이 일어났다.

2년 전 멕시코 칸쿤에서 열린 WTO 각료회의에서는 역시 한국 농민단체의 간부가 항의 '할복자살'을 해 세계를 놀라게 했다. 한국은 '데모 천국'이라고 할 만큼 각종 데모가 활발한 벌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해외에까지 '데모 수출'로 과격상이 국제적으로 화제가 되고 있다.

홍콩 당국은 사전에 한국 정부에 대해 데모 자숙을 요청했지만, 한국의 농업 자유화 반대 농민단체 등 1500명이 가두 데모를 벌여 경찰과 격렬하게 충돌했다. 데모대는 법규를 무시하고 쇠파이프, 각목을 휘둘러 많은 부상자가 나왔다. 홍콩에서는 이례적인 사태로 결국 대량 연행됐다.

한국 시위대의 불법, 과격상은 자국내에서 하던 행동의 연장이다. 이른바 민주화 이후, 학생 데모는 줄었지만, 노조나 시민운동을 통해 각종 요구나 불만이 분출, 서울 등은 데모가 없는 날은 없을 만큼의 데모 천국이 됐다.

특히 혁신 정권인 김대중, 노무현 정권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보호 분위기 때문에 불법 데모에 대한 대처가 미온적이다. 연행돼도 결국 면죄되는 경우가 많아 시위대는 당국을 얕잡아 보고 있다.

게다가 한국에서는 반미나 반일 운동을 포함해 동기가 여론에 적합하면 어떻게 해도 용서가 되는 것이 사회적 분위기다. '법보다 인정'이 우선해 '법치는 아니고 정치(情治)'라는 비꼬는 말이 있을 정도다.

 한국 정부는 경제에 악영향을 염려해 직장 점거나 불법파업 등 과격한 노동쟁의에는 엄중 대처하고 있지만 WTO 체제하에서 농민 보호에 효과적인 대책이 없어 (농민 시위에)고심하고 있다.

 농민들은 지금까지 고속도로 점거 등 과격 데모를 계속해 왔지만 동정적 여론이 강해 불법, 과격을 비판하는 소리는 적었다. 그러나 과격 데모가 해외에서 불상사로 발전해 국제적으로 화제가 된 탓인지 ‘나라의 수치’라고 하는 비판의 소리가 있다. (산케이신문)
관련
기사
2005-12-20 12:15
ⓒ 2006 OhmyNews